성형수술 중 호흡곤란, 의식저하가 발생하였으나 전원이 지연되어 후유증이 발생한 사례

원고는 외국 거주 중 눈썹거상술을 받기 위하여 서울의 모 성형외과 진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성형외과에서는 원고에게 잠깐 수면마취만 하면 눈썹거상술이 짧은시간안에 끝날 것이라고만 설명하고 원고에게 수술을 권하였습니다.

원고는 평소 흡연자로서 흡연환자에게 수면마취를 하면 호흡곤란, 의식저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병원에서는 주의를 하여야 하고 호흡곤란, 의식저하 발생 시 수술을 멈추고 환자를 전원조치하거나 부작용, 후유증 발생여부를 살펴 환자와 치료방향을 상의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성형외과 의원에서는 환자가 수술도중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응급상황까지 발생하였는데, 응급상황에서 환자상태가 회복되자 환자와 상의없이 수술을 계속진행하였습니다.

환자는 수술 완료 후 회복도중에 다시 의식저하가 왔는데, 병원측에서는 그때도 경과관찰만 하면서 환자전원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가 환자가 폐렴증세를 보이자 그제서야 전원조치를 하였습니다.

환자는 갈비뼈 골절, 폐렴증상으로 장기간 입원치료를 하였고 다행히 회복되었으나 후유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져서 소송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에서는 수술중 환자에게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고 수술 후 의식저하도 발생할 수 있으나, 최소한 수술종료 후 환제엑 부작용이 발생한 사실, 부작용에 대하여 전원조치와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지하고 정밀 검사 또는 종합병원 전원조치를 하였어야 하나, 임의로 환자에게 경과관찰만 한 점, 수술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점에 대하여 위자료 및 치료비 배상 판결을 하였습니다.

환자가 회복이되어도 그 과정에서 발생한 고통 및 발생손해에 대하여 법원이 손해배상을 인정한 사례로 의미가 있습니다.

의료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법률사무소 이원은 의사출신 대표변호사가 의료와 법률 양쪽의 전문지식을 갖고 의뢰인의 문제를 빠르고 친절하게 상담합니다. 궁금한 점은 부담없이 문의하세요.

글 공유하기:

카테고리

사례연구

의료소송가이드

언론보도

다른 글 보기

1인1개소법’ 하의 병원MSO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언

‘병원MSO’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 MSO는 ‘Management Service Organization’의 약자로 ‘병원경영지원회사’를 뜻하며 ‘병원MSO’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병원MSO의 주된 역할은 각 병의원을 개설한 의료인에게 진료, 수술

발목관절 인대파열 국가유공자 인정사례

원고는 군 복무 이전에는 발목부상이나 아무런 발목통증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군복무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사단 내 야간 기동훈련 중 발목이 여러차례 꺾이는 부상을 입었고 사고

척추유합술 전 사정변경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 사례

환자는 추간판협착증으로 인하여 수술치료를 받고자 사고병원에 입원하였습니다. 병원에서는 입원당일 환자에게 요추유합술을 시행한다고만 설명하였고 입원 후 4일간 수술위험성이나 수술계획에 필요한 각종 검사를 시행하였습니다. 그런데 4일 후

의사출신 변호사로 구성된
의료소송 전문 법률사무소

업무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