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수술 후 심부전 발생환자에대한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어 사망한 사례

환자는 고령이었으나 비교적 건강상태가 좋은 상태에서 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을 입었습니다.

환자 거주지 인근 준 종합병원에서는 환자의 고관절 골절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여 곧바로 수술적 치료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건강한 환자라 할지라도 고관절 골절에 따른 수술은 비교적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수술로 수술 전 환자의 심장상태, 폐상태, 콩팥 상태 등 전신기관에 대한 평가를 충분히 한 다음 수술에 나아가야 함에도, 병원측은 환자의 심초음파 결과 상 심장기능이 좋지 못함에도 그대로 수술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병원측은 환자가 고관절 수술 후 호흡곤란, 전신쇠약 증상이 있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환자의 상태가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 될 것이라고 경과관찰만하였고, 혈액검사 중 심부전이 의심되는 검사결과가 나왔음에도 환자의 심장기능 저하에 대한 아무런 평가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환자는 수술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습니다.

환자 유가족들과 본 대리인은 고관절 수술 전, 후 병원이 환자에게 발생한 심장합병증 위험에 대한 평가를 적절히 하지 않고 심부전 진단 및 치료지연을 한 점을 지적하여 소송을 진행하였습니다.

법원에서는 수술 이후 환자에게 심부전 의심되는 검사결과와 증상이 확인되었음에도 환자의 진료를 지연하여 환자가 사망에까지 이르도록 한 점을 지적하여 유가족들에게 손해배상을 명하였습니다.

고령의 환자라도 수술 전, 후 위험도 평가를 적절히 시행하지 않아 환자의 상태가 좋아지지 않은 경우 법원이 병원의 진료 상 과실을 인정한 사례입니다.

의료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법률사무소 이원은 의사출신 대표변호사가 의료와 법률 양쪽의 전문지식을 갖고 의뢰인의 문제를 빠르고 친절하게 상담합니다. 궁금한 점은 부담없이 문의하세요.

글 공유하기:

카테고리

다른 글 보기

(의료사고) 척추 수술 후 하지마비가 발생한 사례

사건경위 환자는 30대 젊은 나이에 허리가 아파 병원에 내원하였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추간판탈출증이 있으니 즉시 수술하자고 하였고 의사를 신뢰한 환자는 신경박리술, 고주파수핵성형술 치료를 받았습니다. 환자는 수술직후부터

산후출혈에 대한 병원의 처치지연이 인정된 사례

사건내용 산모는 첫째를 질식분만으로 출산한 이후 둘째는 자연분만으로 출산하였습니다. 태아는 무사히 태어났으나 산모의 산후출혈이 잘 조절되지 않아 산모는 계속해서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의사는 산후 출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