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술 중 호흡곤란, 의식저하가 발생하였으나 전원이 지연되어 후유증이 발생한 사례

원고는 외국 거주 중 눈썹거상술을 받기 위하여 서울의 모 성형외과 진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성형외과에서는 원고에게 잠깐 수면마취만 하면 눈썹거상술이 짧은시간안에 끝날 것이라고만 설명하고 원고에게 수술을 권하였습니다.

원고는 평소 흡연자로서 흡연환자에게 수면마취를 하면 호흡곤란, 의식저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병원에서는 주의를 하여야 하고 호흡곤란, 의식저하 발생 시 수술을 멈추고 환자를 전원조치하거나 부작용, 후유증 발생여부를 살펴 환자와 치료방향을 상의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성형외과 의원에서는 환자가 수술도중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응급상황까지 발생하였는데, 응급상황에서 환자상태가 회복되자 환자와 상의없이 수술을 계속진행하였습니다.

환자는 수술 완료 후 회복도중에 다시 의식저하가 왔는데, 병원측에서는 그때도 경과관찰만 하면서 환자전원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가 환자가 폐렴증세를 보이자 그제서야 전원조치를 하였습니다.

환자는 갈비뼈 골절, 폐렴증상으로 장기간 입원치료를 하였고 다행히 회복되었으나 후유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져서 소송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에서는 수술중 환자에게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고 수술 후 의식저하도 발생할 수 있으나, 최소한 수술종료 후 환제엑 부작용이 발생한 사실, 부작용에 대하여 전원조치와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지하고 정밀 검사 또는 종합병원 전원조치를 하였어야 하나, 임의로 환자에게 경과관찰만 한 점, 수술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점에 대하여 위자료 및 치료비 배상 판결을 하였습니다.

환자가 회복이되어도 그 과정에서 발생한 고통 및 발생손해에 대하여 법원이 손해배상을 인정한 사례로 의미가 있습니다.

의료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법률사무소 이원은 의사출신 대표변호사가 의료와 법률 양쪽의 전문지식을 갖고 의뢰인의 문제를 빠르고 친절하게 상담합니다. 궁금한 점은 부담없이 문의하세요.

글 공유하기:

카테고리

다른 글 보기

(의료사고) 척추 수술 후 하지마비가 발생한 사례

사건경위 환자는 30대 젊은 나이에 허리가 아파 병원에 내원하였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추간판탈출증이 있으니 즉시 수술하자고 하였고 의사를 신뢰한 환자는 신경박리술, 고주파수핵성형술 치료를 받았습니다. 환자는 수술직후부터

산후출혈에 대한 병원의 처치지연이 인정된 사례

사건내용 산모는 첫째를 질식분만으로 출산한 이후 둘째는 자연분만으로 출산하였습니다. 태아는 무사히 태어났으나 산모의 산후출혈이 잘 조절되지 않아 산모는 계속해서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의사는 산후 출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