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분쟁)척추신경성형술 중 척수강내 약물주입과 응급처치지연으로 사망한 사례

환자는 허리통증으로 척추전문병원에 척추신경성형술을 받기로 하였습니다.

척추신경성형술은 허리디스크나 허리에 통증을 일으키는 병변에 의료기구를 접근 시켜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입니다.

그런데 의료기구를 접근시켜 병변에 약물을 주입할 때 주변 척수나 장기에 약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만약 약물이 잘못 주입되면 환자의 호흡, 심박수 등 활력징후가 급격히 떨어져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환자는 신경성형술을 받은 이후 갑작스럽게 심박수가 떨어졌고 당시 신경성형술을 시행한 의사가 응급처치를 늦게 하여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치료받던 중 결국 사망하였습니다.

환자의 유가족은 간단한 척추시술을 한다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환자가 갑자기 사망하자 손해배상을 청구하고자 저희 사무실을 찾아오셨습니다.

저희사무실에서는 환자에 대한 신경차단술 중 약물이 본래 주입되어야 할 위치에 주입되지 않고 잘못 투약된 점, 응급상황에서의 응급처치 지연으로 환자가 결국 뇌손상에 이르게 된 점을 입증하였습니다.

법원에서는 사망자 및 가족들에게 총 금2억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의료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법률사무소 이원은 의사출신 대표변호사가 의료와 법률 양쪽의 전문지식을 갖고 의뢰인의 문제를 빠르고 친절하게 상담합니다. 궁금한 점은 부담없이 문의하세요.

글 공유하기:

카테고리

다른 글 보기

(의료사고) 척추 수술 후 하지마비가 발생한 사례

사건경위 환자는 30대 젊은 나이에 허리가 아파 병원에 내원하였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추간판탈출증이 있으니 즉시 수술하자고 하였고 의사를 신뢰한 환자는 신경박리술, 고주파수핵성형술 치료를 받았습니다. 환자는 수술직후부터

산후출혈에 대한 병원의 처치지연이 인정된 사례

사건내용 산모는 첫째를 질식분만으로 출산한 이후 둘째는 자연분만으로 출산하였습니다. 태아는 무사히 태어났으나 산모의 산후출혈이 잘 조절되지 않아 산모는 계속해서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의사는 산후 출혈에